노후 대비, 투자를 한번에 산지연금 수령, 가입 방법 알아보기

반응형

주택연금, 임야연금, 농지연금 모두 담보를 걸고 연금을 수령하는 연금입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정부에서 밀어주기로 하는 '산지연금'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가지는 산지연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산지연금 정보

 

산지연금은 산을 국가에 팔고 매매대금을 10년간 나눠서 받는 연금입니다. 이 제도는 국가 소유의 사유림을 늘리기 위한 사유림 매수 사업의 일환입니다. 2023년에 들어서 분할지급형 사유림 매수제도로 명칭을 바꾸고 지원을 늘리는 등 정부가 밀어주는 사업입니다.

 

산지연금 지급은 처음 지급할 때 매매 대금의 일부를 지급하고 나머지 매매 대금은 이자, 지가 상승 보상액을 합쳐서 120회로 나눠서 매월 지급합니다. 2023년 산림청은 이런 산지연금을 더 좋은 방식으로 개선했습니다.

 

  1. 처음 계약 체결 시 지급되는 금액은 판 금액의 20%였습니다. 하지만 20~40%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매수에 기준이 되는 지역 별 매수 기준단가를 삭제했습니다.
  3. 산지는 지분이 여러 명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전 산지연금은 공유자가 최대 2명인 경우까지였지만 4명까지 되도록 변경됐습니다.

 

그래서 수령할 수 있는 금액도 늘어나고 팔 수 있는 산지 범위도 늘어나서 많은 사람들이 노후대비, 투자로 산지연금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산지연금을 신청하는 방법, 산지연금과 관련된 궁금증이 생기시죠? 

 

산지연금 신청하는 방법

산지연금은 산림청에서 산지를 매수합니다. 그래서 산림청 홈페이지에서 공고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산림청 홈페이지로 방문합니다.
  2. 위에 큰 메뉴에서 행정정보를 누릅니다.
  3. 알림 정보에서 사유림을 삽니다.
  4. 사유림 공고 바로가기

 

이곳에서 다양한 지역의 산지연금 공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절차에 맞춰서 산지연금을 계약합니다.

 

  1. 매도승낙서를 접수합니다.
  2. 산지 매도가 결정되면 연락이 옵니다.
  3. 매매협의를 거쳐서 가격을 결정하고 계약을 체결합니다.
  4. 산림청으로 소유권을 이전하고 매매대금을 지급받습니다.

 

하지만 국가에서 진행하는 사업인 만큼 팔 수 있는 산지에도 조건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공유자가 매도승낙이 없는 경우, 저당권이나 지상권 등 사권이 설정된 경우입니다. 쉽게 말하면 권리설정이 불편한 경우는 매입하지 않습니다.

 

산지연금 매도금액 결정 방법

 

산지연금의 매도금액은 2인의 감정평가액의 평균으로 결정됩니다. 만약 국가의 보조를 받은 사항이 있다면 금액을 공제한 후 결정됩니다. 감정을 할 때 산지 소유자가 감정 업자 한 명을 추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매도 금액이 결정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